삼손3 사사기 16장 삼손과 가사에서의 사건 사사기 16장 삼손과 가사에서의 사건 하나님의 영이 삼손에게 임했다는 표현이 더 이상 나오지 않음.① 삼손과 가사의 기생(16:1-3) ② 삼손과 들릴라(16:4-31) 둘 다 블레셋 여인, 가사를 지리적 배경으로 사건이 전개되는 공통점이 있다. 삼손과 가사의 기생(삿 16:1-3) 밤이라는 단어 많이 나오는데, 앞으로 전개 될 일들 암시한다. 결국 밤이라는 이름 가지고 있는 드릴라를 만나, 밤의 운명을 맞이한다. “가사에 가서(16:1 a)” 가사를 언급하는 것은 문학적 표현, 이스라엘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역, 하나님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삼손의 상태를 의미한다. ‘들어갔다’(1절)는 것은 성적 관계를 의미한다. 가사 사람들이 삼손을 에워싸고, 삼손은 탈출한다(3절). 어떻게 해서 삼손이 그 .. 2021. 3. 17. 사사기 15장 블레셋 사람에 대한 복수 사사기 15장 블레셋 사람에 대한 복수 ① 장인의 집(15:1-3) ② 곡식 밭(15:4-8) ③ 유대 지역(15:9-13) ④ 레히(15:14-19) 장인에게 돌아옴(삿 15:1-3) “밀 거둘 때(15:1)” 는 3-4월에서 2-3개월 지난 시기로 추측할 수 있다. “방(히. 헤데르)”은 결혼식 이후 함께 하지 못한 잠자리를 하겠다는 의미이다. 2절은 장인의 거절과 제안으로 “심히 미워하는 줄로(15:2)”는 ‘이혼하는 줄로 알고’의 의미이다. 삼손의 복수(삿 15:4-8) 방법(4-5절) - 여우 300을 통한 복수 삼손에게는 더불어 싸울 용사가 없었다. 그래서 동물들을 동역자로 삼고 싸우고 있다. 이미 블레셋 편에 들어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홀로 싸우는 사사로 되어 있다. 삼손 얘기에서는 동물이.. 2021. 3. 17. 사사기 14장 삼손과 딤나 여인 사사기 14 삼손과 딤나 여인 삼손과 여성 ① 딤나 여인(14-15장) ② 가사의 여인(16:1-3) ③ 데릴라(16:4-31) 뒤로 갈수록 삼손이 여성에 대한 집착이 심해지는 양상이다. 여자의 유혹에 점점 더 깊이 빠져가는 삼손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여기에 등장하는 동사들을 보면 보고(14:1), 들어갔더니(16:1), 사랑하매(16:4), 자게 하고(16:19) 삼손의 모습이 점점 이방 여인에게 깊이 빠져 들어가는 모습인데, 저자가 삼손을 이렇게 묘사하는 모습이 이스라엘 모습이라는 의미이다. 이방 문화와 종교에 점점 더 깊이 빠져 들어가는 모습을 삼손의 모습을 통해서 표현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삼손은 이스라엘의 모형이다. 삼손과 딤나 여인의 결혼(삿 14:1-9) 삼손의 딤나에 내려감(14:1-.. 2021. 3. 17. 이전 1 다음